다음 표는 CPU 4코어 이상, RAM 16GB 이상, SSD 스토리지, Linux OS 조건을 만족하는 각 업체의 가상 서버 월간 고정 요금(정액제 기준)을 비교한 것입니다. (모든 가격은 VAT 별도 기준이며, 1개월=720시간 가정):
업체 (서비스) vCPU / 메모리 스토리지 월 요금
업체(서비스) | vCPU / 메모리 | 스토리지 | 월 요금 |
AWS (Lightsail) | 4 vCPU / 16 GB | 320 GB SSD | 약 $80/월 (약 10만 원) |
네이버클라우드 | 4 vCPU / 16 GB | 50~100 GB SSD | 약 12.4만 ~ 12.7만 원/월 |
KT Cloud | 4 vCPU / 16 GB | 100 GB (SSD 제공) | 221,850원/월 |
Cafe24 클라우드 | 8 vCPU / 16 GB | 30 GB SSD (기본) | 시간당 164원 (월 약 11.8만 원) |
가비아 클라우드 | 4 vCPU / 16 GB | 50 GB HDD (기본) | ~172,500원/월 (가격인하 후) |
주석: 일부 업체는 시간요금제로 과금하므로 월 요금은 720시간 사용 기준으로 환산하였으며, 기본 제공 스토리지 용량 및 유형을 표기했습니다. Cafe24의 경우 4코어로 16GB 메모리를 제공하는 플랜이 없어 8코어/16GB 최소 사양을 표시했습니다. 가비아 클라우드는 기본 HDD 기준 가격이며 SSD 선택 시 소폭 비용 상승이 있을 수 있습니다.
성능 대비 가성비 분석
위 비교에서 AWS Lightsail의 경우 월 약 10만원 수준으로 가장 저렴한 가격대에 4코어/16GB 가상서버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마존 라이트세일(Amazon Lightsail)이란? | 44BITS). 게다가 320GB SSD 스토리지와 7TB 상당의 트래픽이 포함되어 있어, **자원 대비 비용 효율(가성비)**이 매우 우수합니다. 다만 Lightsail 인스턴스는 기본적으로 버스터블 성능 인스턴스로 제공되므로, 지속적인 최대 CPU 성능이 필요한 워크로드에서는 EC2보다 성능이 낮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웹서버/애플리케이션 서버 용도로는 성능 대비 비용효율이 최상급이라 볼 수 있습니다.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NCP)**은 동일 사양 서버를 월 약 12만 4천원 수준에 제공하고 있어 AWS Lightsail보다는 약간 높은 편입니다 (리전별 요금제 - NAVER CLOUD PLATFORM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기본적으로 50GB SSD 시스템디스크가 포함되고, 월 1TB의 트래픽이 무료 제공됩니다(16GB 메모리 이상 인스턴스는 2TB까지 무료) (주요 상품 개요 - Cloud 매뉴얼 - KT). 네이버 클라우드는 서울 리전을 통해 지연 시간 없이 국내 서비스를 할 수 있고, 한글 기술지원 등을 감안하면 합리적인 가격대로 평가됩니다. vCPU당 성능은 일반적인 인텔 스케일러블 프로세서급으로 안정적이며, 국내 운영에 편의성이 높습니다.
**KT Cloud(uCloud)**는 동일 사양 플랜인 “쿼드16GB” 상품이 월 약 22만 1천원으로 가격이 가장 높게 책정되어 있습니다 (nuriweb.co.kr). 이는 네이버클라우드 대비 거의 2배에 가까운 비용으로, 가성비 측면에서는 낮은 편입니다. KT Cloud의 장점으로 국내망 품질과 24시간 기술지원 등을 들 수 있지만, 동일한 자원 대비 요금이 높아 비용 효율 면에서는 경쟁사 대비 열위입니다. 다만 16GB 메모리 VM부터 월 2TB의 트래픽을 무료로 제공하여 트래픽 소모가 많은 경우 부가 비용이 적을 수는 있습니다.
Cafe24 클라우드는 시간당 과금으로 8vCPU/16GB 사양이 제공되며, 시간당 164원으로 환산 시 월 약 11.8만원 정도입니다 (카페24 클라우드 | 서버호스팅 | 카페24 호스팅). 코어 수는 요구조건보다 높지만 메모리 16GB를 만족하는 최소 구성이며, 가격은 AWS Lightsail과 비슷하거나 약간 저렴합니다. 1TB/월의 기본 트래픽이 제공되며 초과분은 종량 과금 (카페24 클라우드 | 서버호스팅 | 카페24 호스팅). Cafe24는 국내 중소기업 및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가성비 VPS로 자주 거론될 만큼 가격 경쟁력이 높은 편이고, SSD 스토리지와 기본 제공 트래픽을 고려하면 성능 대비 비용 효율이 우수합니다. 다만 콘솔 사용자경험이나 글로벌 인프라 측면에서는 글로벌 클라우드 대비 단순한 VPS 성격이 강합니다.
가비아 클라우드의 경우 과거 4vCPU/16GB 사양 월 25만 1천원(HDD 포함) 수준으로 매우 비쌌으나, 2024년 5월 인하 후 약 17만 2천500원으로 가격을 크게 낮췄습니다 (가비아 - 공지사항). 인하된 가격을 보면 여전히 AWS나 Cafe24에 비해서는 높고, 네이버클라우드보다도 다소 비싼 편입니다. 가비아는 국내 트래픽 4TB까지 무료 제공 (가비아 클라우드 - 서버) (가비아 클라우드 - 서버) 등 트래픽 혜택이 크고, 전통적인 호스팅 업체로서 매니지드 보안/운영 지원이 강점입니다. 그러나 동일 자원 대비 순수 비용만 놓고 보면 가성비는 중간 수준이며, SSD 스토리지로 구성하려면 추가 비용이 발생합니다. SSD 사용 시 IOPS 성능은 향상되나 그만큼 비용 효율은 HDD 대비 소폭 낮아질 수 있습니다.
종합하면, AWS Lightsail과 Cafe24 클라우드가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요구 사양을 충족하며 가성비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네이버 클라우드는 약간 높은 가격이지만 국내 서비스 편의성을 고려하면 합당한 수준이고, 가비아는 최근 가격 인하로 많이 따라왔으나 여전히 다소 높은 요금입니다. KT Cloud는 비용이 가장 높아 성능 대비 비용 효율이 떨어지는 편으로, 예산에 민감한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불리합니다. 각 기업의 **부가 서비스 (트래픽 제공량, 지원, 안정성)**도 고려 요소이지만, 동일한 4코어/16GB 환경에서 월 요금만 비교할 때는 위와 같은 차이가 있으므로, 예산과 필요한 부가서비스를 모두 감안하여 적절한 서비스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출처:
가격 정보 (아마존 라이트세일(Amazon Lightsail)이란? | 44BITS) (리전별 요금제 - NAVER CLOUD PLATFORM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nuriweb.co.kr) (카페24 클라우드 | 서버호스팅 | 카페24 호스팅) (가비아 - 공지사항), 트래픽 정책 (카페24 클라우드 | 서버호스팅 | 카페24 호스팅) (가비아 클라우드 - 서버) 등 각 공식 사이트 및 공개자료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