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데스크톱 접속은 윈도우 유저에게는 다른 사용자의 컴퓨터를 제어하는 가장 클래식한 방법입니다. 하지만 원격접속을 위해서 설정하는 값이 있다보니, 일반 사용자들에게 친숙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다가 카카오톡에서 제공한 원격접속은 정말 혁신이었습니다. 하지만 수년전 이 서비스는 사라졌습니다.
이후 크롬 원격접속이 인기를 끌었습니다만, 이녀석은 1회성이고 오랜 시간 접속을 하더라도, 잠시 자리비우면 얄짤없이 끊어버리는 고약한 녀석입니다. 그런데 알고보니 무료로 아무때나 접속이 가능하도록 만들 수 있다고 합니다.
크롬 원격 데스크톱을 통해 원격으로 컴퓨터에 지속적으로 접속하려면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르세요:
- 크롬 원격 데스크톱 설치 및 설정
- 크롬 브라우저에서 remotedesktop.google.com/access에 접속합니다.
- '원격 액세스 설정' 섹션에서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여 크롬 원격 데스크톱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합니다. Google 도움말
- 설치가 완료되면 컴퓨터 이름을 설정하고, 6자리 PIN을 입력하여 원격 접속을 위한 보안을 설정합니다.
- 컴퓨터의 자동 부팅 설정
- 컴퓨터가 꺼진 후에도 자동으로 부팅되도록 BIOS 설정을 변경합니다.
- 컴퓨터를 재부팅하고 BIOS 설정에 진입합니다. (일반적으로 부팅 시 'Del' 또는 'F2' 키를 누릅니다.)
- 'Power Management' 또는 'ACPI' 섹션에서 'Restore on AC/Power Loss' 옵션을 'On'으로 설정합니다.
- 이 설정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컴퓨터가 자동으로 부팅됩니다.
- 윈도우 자동 로그인 설정
- 윈도우에서 자동 로그인을 설정하여 부팅 후 사용자 계정으로 바로 진입하도록 합니다.
- '실행' 창(Win + R)을 열고 'netplwiz'를 입력한 후 엔터를 누릅니다.
- '사용자 계정' 창에서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해야 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음' 옵션의 체크를 해제합니다.
- '적용'을 클릭하면 자동 로그인 설정 창이 나타나며, 여기서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한 후 확인을 클릭합니다.
- 크롬 원격 데스크톱 자동 실행 설정
- 크롬 원격 데스크톱은 일반적으로 설치 후 자동으로 실행되지만, 만약 그렇지 않은 경우 시작 프로그램에 추가합니다.
- '실행' 창(Win + R)을 열고 'shell:startup'을 입력한 후 엔터를 누릅니다.
- 열린 폴더에 크롬 원격 데스크톱의 바로 가기를 복사하여 붙여넣습니다.
- 네트워크 설정 확인
- 크롬 원격 데스크톱은 인터넷을 통해 작동하므로, 방화벽이나 네트워크 설정이 원격 접속을 차단하지 않는지 확인합니다.
- 필요한 경우, 방화벽 설정에서 크롬 원격 데스크톱을 허용 목록에 추가합니다.
위의 절차를 완료하면 컴퓨터가 꺼진 후에도 전원이 공급되면 자동으로 부팅되고, 윈도우에 자동으로 로그인되며, 크롬 원격 데스크톱이 실행되어 원격 접속이 가능합니다.
반응형